
dashboard
LLM으로 대시보드 만들기 - 마법사 Claude와 매니저 ChatGPT
"대시보드를 통째로 LLM에게 맡기면 어떻게 될까?" 쿼리만 잘 짜주는 게 아니라, 흐름도 맡길 수 있을까? Claude와 ChatGPT를 활용해 대시보드를 구성해봤습니다. 마법처럼 쏟아지는 코드와, 되묻고 정리하게 만드는 대화형 흐름. 이 실험에서 가장 많이 바뀐 건 도구가 아니라 제 사고 방식이었습니다.
dashboard
"대시보드를 통째로 LLM에게 맡기면 어떻게 될까?" 쿼리만 잘 짜주는 게 아니라, 흐름도 맡길 수 있을까? Claude와 ChatGPT를 활용해 대시보드를 구성해봤습니다. 마법처럼 쏟아지는 코드와, 되묻고 정리하게 만드는 대화형 흐름. 이 실험에서 가장 많이 바뀐 건 도구가 아니라 제 사고 방식이었습니다.
chart
멋진 대시보드, 복잡함 없이. 셀렉트어드민은 SQL, YAML, chart.js만으로 간단히 구현. 필터 자동 연동, 인프라 제로로 시간을 절약하고 적정 수준의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Admin
어드민(Admin)이란 IT 시스템을 의미하며, 관리자 페이지, 백오피스 등으로도 불립니다. 비즈니스 운영 과정에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시스템화하기보다는,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며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드민 구축 여부를 고민할 때는 SaaS 도입과의 차이를 이해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portal
고객 응대는 비즈니스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셀렉트어드민으로 만든 파트너센터나 고객 포털에 채널톡 같은 고객 응대 채팅 도구를 추가하면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Admin
어드민 시스템은 비즈니스 운영에 필수적인 도구지만, 개발 과정에서 여러 도전 과제와 복잡한 결정을 필요로 합니다. 어드민 개발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들을 단계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documentation
이번에 가이드 문서를 리드미(readme.com)라는 서비스에서 VitePress로 이전하였는데요. 장단점 그리고 이전과정에서 겪은 경험들을 글로 풀어보았습니다. 과거에 노션Notion, 깃북Gitbook을 거쳐 리드미로 이전하였으며 당시의 판단 기준도 함께 공유해보겠습니다.
셀렉트의 시작은 여러 불편했던 경험과 아이디어 중 하나였습니다. 저희 팀만 불편했던걸까요?
learn
🗞️본 글은 셀렉트 팀의 김학범님이 웹 개발 강의를 듣고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기고한 내용입니다. 작성자는 운영툴, 어드민 문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최근 밤에 30분~1시간씩 짬을 내어 5주간 스파르타코딩클럽의 웹개발 종합반 강의를 들었습니다. 저는 초기 IT 스타트업에서 고객지원과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관리 등의 업무를 맡아왔는데요. 그동안 IT와 개발에 대한 지식을 눈치껏
saas
제목이 거창하지만 사실 가벼운 프로젝트입니다. 간단하게라도 서비스 모음집을 만들어보자라고 생각했고, 시작하게 된 이유는 3가지 정도였습니다. 1. 개인적인 관심 사용자로서 SaaS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아쉽게도 몸이 하나라 모든 SaaS를 써본건 아니지만, 기존과 새로운 서비스들을 계속해서 주시하곤 합니다. 알고 있던 국내 서비스들의 소식이 궁금하기도 해서 뉴스레터를 받아보지만, 중요한 이메일에 집중하기 위해 결국
cms
콘텐츠 관리 시스템 Contents Management System (이하 CMS)은 IT 업계에서 오래된 개념의 시스템입니다. 그만큼 CMS는 영역도 넓고 다양하게 발전해왔고, 콘텐츠를 관리할 방법에 대한 선택지도 많은데요. 당연하게도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가 모든 상황에서 적합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알맞은 CMS를 도입해야합니다. CMS와 웹사이트 제작 툴의 차이 우리가 웹사이트에서 보는 콘텐츠는
saas
Saa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SaaS란 무엇이고, 국내 시장의 현재와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SaaS란? SaaS는 Software as a service의 약자입니다.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한다는 의미인데요. 과거 소프트웨어는 당연히 "설치"하는 것이었지만 선구자 격인 세일즈포스가 웹으로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게 되면서 SaaS 제품이 더 퍼지게 되었습니다. 2022년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sql
IT 서비스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시스템 중의 하나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인데요. RDB라고도 많이 이야기합니다. 이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입니다. 오늘날 SQL은 개발자나 DBA 등 DB 전문가 뿐 아니라 데이터 분석, 사업개발, 운영 등의 직군에서도 사용자가